ハングル文字とひらがなの比較
ハングル文字は1443年に世宗大王によって創られました。誰がどんな意図でいつ創ったのかが分かる文字です。→ 訓民正音以後の韓国語
五十音図のハングル文字とローマ字表記
ハングル文字は発音記号。日本語(ひらがな)は子音と母音の区別がない。
あ 아 a  | 
    い 이 i  | 
    う 우 u  | 
    え 에 e  | 
    お 오 o  | 
  
か 카 ka  | 
    き 키 ki  | 
    く 쿠 ku  | 
    け 케 ke  | 
    こ 코 ko  | 
  
さ 사 sa  | 
    し 시 shi  | 
    す 스 su  | 
    せ 세 se  | 
    そ 소 so  | 
  
た 타 ta  | 
    ち 치 chi  | 
    つ 츠 tsu  | 
    て 테 te  | 
    と 토 to  | 
  
な 나 na  | 
    に 니 ni  | 
    ぬ 누 nu  | 
    ね 네 ne  | 
    の 노 no  | 
  
は 하 ha  | 
    ひ 히 hi  | 
    ふ 후 hu  | 
    へ 헤 he  | 
    ほ 호 ho  | 
  
ま 마 ma  | 
    み 미 mi  | 
    む 무 mu  | 
    め 메 me  | 
    も 모 mo  | 
  
ら 라 ra  | 
    り 리 ri  | 
    る 루 ru  | 
    れ 레 re  | 
    ろ 로 ro  | 
  
や 야 ya  | 
    
  | 
    ゆ 유 yu  | 
    
  | 
    よ 요 yo  | 
  
わ 와 wa  | 
    ゐ 이 i  | 
    
  | 
    ゑ 에 e  | 
    を 오 wo  | 
  
ん ㄴ ㅁ ㅇ  | 
    
  | 
    
  | 
    
  | 
    
  | 
  
■:母音
■:無声音: 発音するとき、声帯の振動を伴わない音。主として子音の [p][t][k][s][ʃ][Φ][ç][h] の類。
■:有声音: 発音するとき、声帯の振動を伴う音。無声音に対する。[b][d][g][m][n][ŋ][v][z][ʒ] などの子音や、普通の母音がこれに属する。
濁音と清音
が 가 ga  | 
    ぎ 기 gi  | 
    ぐ 구 gu  | 
    げ 게 ge  | 
    ご 고 go  | 
  
っか 까  | 
    っき 끼  | 
    っく 꾸  | 
    っけ 께  | 
    っこ 꼬  | 
  
か 카 ka  | 
    き 키 ki  | 
    く 쿠 ku  | 
    け 케 ke  | 
    こ 코 ko  | 
  
な 나 na  | 
    に 니 ni  | 
    ぬ 누 nu  | 
    ね 네 ne  | 
    の 노 no  | 
  
だ 다 da  | 
    ディ 디 di  | 
    ドゥ 두 du  | 
    で 데 de  | 
    ど 도 do  | 
  
た 타 ta  | 
    ティ 티 ti  | 
    トゥ 투 tu  | 
    て 테 te  | 
    と 토 to  | 
  
唇音
ま 마 ma  | 
    み 미 mi  | 
    む 무 mu  | 
    め 메 me  | 
    も 모 mo  | 
  
ば 바 ba  | 
    び 비 bi  | 
    ぶ 부 bu  | 
    べ 베 be  | 
    ぼ 보 bo  | 
  
っぱ 빠  | 
    っぴ 삐  | 
    っぷ 뿌  | 
    っぺ 뻬  | 
    っぽ 뽀  | 
  
ぱ 파 pa  | 
    ぴ 피 pi  | 
    ぷ 푸 pu  | 
    ぺ 페 pe  | 
    ぽ 포 po  | 
  
作成:2017.2.1